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18.6.27
페이지
323쪽
상세 정보
한국어 문법 교육의 문제를 크게 네 영역으로 구분하여 기술한다. Ⅰ부에서는 한국어 교육 문법의 성격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법 교육의 목표 설정 문제를 다룬다. 특히 여기서는 교육 문법이 이론적인 규칙보다는 실제적인 사용 양상에 초점을 두어야 함을 강조한다. Ⅱ부에서는 한국어 교육 문법의 내용 구성의 문제(선정과 배열)를 다루며, 아울러 외국인 학습자가 어떻게 한국어 문법의 구조와 형태, 그리고 의미에 접근하는지에 대해 기술한다.
Ⅲ부에서는 한국어 문법 교수의 방법을 중심으로 다루는데, 실제 수업에서 적용되는 양상에 초점을 둔다. 특히 여기서는 전통적인 문법 교수법 외에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새로운 교수 방법이나 기법을 소개하고 한국어 문법 교수에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Ⅳ부에서는 문법 교육에서 요구되는 오류 분석과 평가의 문제를 다룬다. 특히 외국어 습득에서 오류는 당연한 것으로 수용하면서 한국어 문법 학습에서 나타나는 오류의 유형과 그에 대한 처치의 문제를 실증적으로 기술한다.
추천 게시물
Yuna
@32dbsk
백광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좀
@silverfishbookworm
퇴마록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앙깨물어버린당
@s8jlesccnxzr
부자들의 3배수 ETF 투자 시크릿 - 앞으로 30년, 3배수 ETF로 100배 수익을 내라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이런 모임은 어때요?
책 추천 방
무료 · 638 /제한 없음
매일 독서 30분
무료 · 4 /제한 없음
맘이음북클럽
무료 · 6 /제한 없음
DM 30
무료 · 17 /300명
J⁴
무료 · 4 /4명
^^
무료 · 1 /5명
독서하자
무료 · 1 /제한 없음
시집의 쓸모
무료 · 5 /제한 없음
📚 독서 연습실
무료 · 12 /제한 없음
일독수다
무료 · 3 /3명
상세정보
한국어 문법 교육의 문제를 크게 네 영역으로 구분하여 기술한다. Ⅰ부에서는 한국어 교육 문법의 성격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법 교육의 목표 설정 문제를 다룬다. 특히 여기서는 교육 문법이 이론적인 규칙보다는 실제적인 사용 양상에 초점을 두어야 함을 강조한다. Ⅱ부에서는 한국어 교육 문법의 내용 구성의 문제(선정과 배열)를 다루며, 아울러 외국인 학습자가 어떻게 한국어 문법의 구조와 형태, 그리고 의미에 접근하는지에 대해 기술한다.
Ⅲ부에서는 한국어 문법 교수의 방법을 중심으로 다루는데, 실제 수업에서 적용되는 양상에 초점을 둔다. 특히 여기서는 전통적인 문법 교수법 외에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새로운 교수 방법이나 기법을 소개하고 한국어 문법 교수에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Ⅳ부에서는 문법 교육에서 요구되는 오류 분석과 평가의 문제를 다룬다. 특히 외국어 습득에서 오류는 당연한 것으로 수용하면서 한국어 문법 학습에서 나타나는 오류의 유형과 그에 대한 처치의 문제를 실증적으로 기술한다.
출판사 책 소개
[머리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KFL) 또는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KSL)의 한 영역으로, 한국어를 외국어의 하나로 습득하는 활동과 관련한 이론과 방법을 다룬다. 이러한 한국어 교육에서 요구되는 문법은 이론언어학의 문법 연구와는 다른 성격을 지닌다. 그것은 외국어 교육을 위한 문법에 포함되는 정보는 이론언어학의 연구 결과뿐만 아니라 언어 교육에 관련된 문제를 토대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은 이론언어학의 문법 기술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활용하되, 교수-학습의 목표와 내용, 방법, 평가 등과 같은 교육과정의 일반적 체계 안에서 구성될 필요가 있다.
최근의 한국어 문법 교육과 관련한 연구는 넓고 깊게 전개되어 오면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정립하고 그에 따르는 체계를 구성하려는 노력들도 이어졌다. 그런데 지금까지의 한국어 문법 교육은 일반언어학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연구와 수업을 위한 교재의 개발에서 상당한 발전이 있어 왔으나,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무엇을, 어떻게, 왜 다루어야 하는지의 문제에 대한 이론적인 천착도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왜냐하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은 성격과 목표, 내용, 방법, 평가에 관한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아울러 최근의 언어 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을 한국어 교육에 접목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전개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이 책은 한국어 문법 교육의 문제를 크게 네 영역으로 구분하여 기술한다. Ⅰ부에서는 한국어 교육 문법의 성격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법 교육의 목표 설정 문제를 다룬다. 특히 여기서는 교육 문법이 이론적인 규칙보다는 실제적인 사용 양상에 초점을 두어야 함을 강조한다. Ⅱ부에서는 한국어 교육 문법의 내용 구성의 문제(선정과 배열)를 다루며, 아울러 외국인 학습자가 어떻게 한국어 문법의 구조와 형태, 그리고 의미에 접근하는지에 대해 기술한다. Ⅲ부에서는 한국어 문법 교수의 방법을 중심으로 다루는데, 실제 수업에서 적용되는 양상에 초점을 둔다. 특히 여기서는 전통적인 문법 교수법 외에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새로운 교수 방법이나 기법을 소개하고 한국어 문법 교수에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Ⅳ부에서는 문법 교육에서 요구되는 오류 분석과 평가의 문제를 다룬다. 특히 외국어 습득에서 오류는 당연한 것으로 수용하면서 한국어 문법 학습에서 나타나는 오류의 유형과 그에 대한 처치의 문제를 실증적으로 기술한다.
전통적으로 외국어 교육은 문법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문법이 외국어 교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그 만큼 크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것은 한국어 교육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것이다. 그런데 오늘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은 이론언어학의 울타리에서 벗어나 그 자체로 독립적인 학문 영역으로 자리매김해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그것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이 이론언어학이 지향하는 형태와 구조보다는 의사소통에서 요구되는 의미와 기능 중심으로 논의되어야 함을 뜻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것이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이라는 오늘날의 외국어 교육의 기본적인 방향과 맞물리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어 문법 교육이 형태와 구조를 외면하고 맥락에 따른 사용 중심으로만 접근되어야 하는 것도 아니다. 그것은 문법은 그 자체가 원리적이고 체계적인 성격을 지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언어의 사용 맥락은 형태나 구조처럼 제한된 원리나 규칙으로 기술하기에는 너무도 넓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어 문법의 원리와 규칙의 기본적 체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이를 실제로 사용하는 다양한 표현 형식들에 대한 접근이 요구되는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관점을 수용하면서 학부 또는 대학원 강의를 염두에 두고 한국어 문법 교육을 조망해 본 것이라 할 수 있는데, 일부의 경우(7장과 11장)는 특수한 영역을 다루고 있다.
보잘것없는 책을 준비하는 데에도 여러 면에서 도움을 받았다. 우선 이 책의 내용은 이미 앞선 연구에서 다룬 것을 기반으로 하였음을 밝혀야 한다. 이러한 앞선 연구에서의 고민이 없었다면, 이 책도 존재할 수 없었음은 분명하다. 또한 이 책의 상당 부분은 필자의 앞선 글을 수정하거나 보완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한국어 문법 교육의 실제적 현상을 제시하는 부분에서는 한국어 교육 현장 교사들의 도움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여러 사람들이 떠오르지만 특히 김혜진, 전영미, 송정화 선생에게 이 자리를 빌려 고마운 인사를 전하고 싶다. 그리고 잡다한 글을 한 권의 책으로 묶을 수 있도록 지원해 준 부산외국어대학교 출판부에도 감사를 드린다.
2015년 2월
우 형 식 씀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