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은 사람
8명
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13.8.30
페이지
208쪽
상세 정보
1926년 출생한 박경리는 만 20세까지의 시간을 온전히 일제 강점기 속에서 지내야 했다. <토지>는 구한말에서 1945년 해방까지의 시공간을 온전히 그 배경으로 하고 있다. 작가의 일본 체험은 아픈 기억이자 굴레였으며, 한편으로 분석과 극복의 대상이기도 했다. <토지> 속에 등장하는 무수한 인물들의 부침과 민족 담론의 양상, 일본의 식민 지배 전략과 한일 문화 비교론, 지식인들의 숱한 논쟁은 바로 그 결과물이다.
이 책은 생전에 작가가 일본에 관해서 썼던 글을 모은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 펼쳐지는 그의 발언은 단순히 한일 두 나라의 이해와 갈등에만 국한 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에 대한 예의와 생명에 대한 존중과 같은 인류 보편의 가치에 닿아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역사소설 <토지>가 갖는 여러 의미 중의 하나는, <토지>는 곧 '소설로 쓴 일본론'이라는 것이다. 작가는 <토지> 외에도 기회가 될 때마다 강연 자리와 여러 지면을 통해 '일본'과 '일본인', '일본 문화'에 대한 작가의 생각을 펼쳐 보였다. 2부에 실린 글들은 <생명의 아픔>, <문학을 사랑하는 젊은이들에게> 등에 실린 글 중에서 일본 관련 글들을 추려 모은 것이다.
상세정보
1926년 출생한 박경리는 만 20세까지의 시간을 온전히 일제 강점기 속에서 지내야 했다. <토지>는 구한말에서 1945년 해방까지의 시공간을 온전히 그 배경으로 하고 있다. 작가의 일본 체험은 아픈 기억이자 굴레였으며, 한편으로 분석과 극복의 대상이기도 했다. <토지> 속에 등장하는 무수한 인물들의 부침과 민족 담론의 양상, 일본의 식민 지배 전략과 한일 문화 비교론, 지식인들의 숱한 논쟁은 바로 그 결과물이다.
이 책은 생전에 작가가 일본에 관해서 썼던 글을 모은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 펼쳐지는 그의 발언은 단순히 한일 두 나라의 이해와 갈등에만 국한 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에 대한 예의와 생명에 대한 존중과 같은 인류 보편의 가치에 닿아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역사소설 <토지>가 갖는 여러 의미 중의 하나는, <토지>는 곧 '소설로 쓴 일본론'이라는 것이다. 작가는 <토지> 외에도 기회가 될 때마다 강연 자리와 여러 지면을 통해 '일본'과 '일본인', '일본 문화'에 대한 작가의 생각을 펼쳐 보였다. 2부에 실린 글들은 <생명의 아픔>, <문학을 사랑하는 젊은이들에게> 등에 실린 글 중에서 일본 관련 글들을 추려 모은 것이다.
출판사 책 소개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단재 신채호
1926년 출생한 박경리는 만 20세까지의 시간을 온전히 일제 강점기 속에서 지내야 했다. 『토지』는 구한말에서 1945년 해방까지의 시공간을 온전히 그 배경으로 하고 있다. 작가의 일본 체험은 아픈 기억이자 굴레였으며, 한편으로 분석과 극복의 대상이기도 했다. 『토지』 속에 등장하는 무수한 인물들의 부침과 민족 담론의 양상, 일본의 식민 지배 전략과 한일 문화 비교론, 지식인들의 숱한 논쟁은 바로 그 결과물이다.
이 책은 생전에 작가가 일본에 관해서 썼던 글을 모은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 펼쳐지는 그의 발언은 단순히 한일 두 나라의 이해와 갈등에만 국한 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에 대한 예의와 생명에 대한 존중과 같은 인류 보편의 가치에 닿아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왜곡된 역사와 혼란스러운 현세 속 우리에게 던지는
거장의 날카롭고 준려한 메시지!
역사소설 『토지』가 갖는 여러 의미 중의 하나는, 『토지』는 곧 ‘소설로 쓴 일본론’이라는 것이다. 작가는 『토지』 외에도 기회가 될 때마다 강연 자리와 여러 지면을 통해 ‘일본’과 ‘일본인’, ‘일본 문화’에 대한 작가의 생각을 펼쳐 보였다. 2부에 실린 글들은 『생명의 아픔』, 『문학을 사랑하는 젊은이들에게』 등에 실린 글 중에서 ‘일본’ 관련 글들을 추려 모은 것이다.
박경리는 지금의 우리들이 우리의 근대사와 일본에 관해 점점 무관심해져 가는 것을 안타까워했다.
너무나 학생들은 일본을 모르고 있는 것이 안타까웠고 사회 자체도 일본의 정체에 무관심하며 또는 일본을 모범으로 생각하는 부류의 확대되는 양상을 보며 걱정을 한 나머지 나로서는 이나마도 성급하게 엉성하나마 말하지 않을 수가 없었습니다. 물론 학생들이 일본을 모른다는 것이 학생들의 잘못은 아닙니다마는 마지막 꼭 해두고 싶은 말은 결코 일본을 모델로 삼지 말라는 것입니다.
-본문 중에서
“앞으로는 실제적인 이론이 서는 일본론을 집필할 예정입니다. 우리 세대 지나면 쓸 사람이 없을 것 같다는 생각 때문입니다. 두 번 입 못 떼게 철저하게 조사해 쓸 겁니다. 어중간하게 칼 뽑지는 않을 겁니다”라고 말한다. 박경리에게 ‘일본론’을 집필한다는 것은 일종의 사명과 같은 것이었으며, 그 시대를 산 지식인으로서 책임과도 같은 것이었다.
독도 영유권과 일본군 위안부 문제, 반복되는 정치인들의 망언, 각료들의 신사 참배, 일본 사회의 전반적인 우경화 바람 등으로 인해 작금의 한일 관계는 결코 정상적이라 할 수 없다. 도대체 왜 그럴까? 일련의 상황들을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 그리고 이제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 이 책은 그러한 질문들에 답하기 위한 실마리와 그에 대한 해답을 담고 있다. 어쩌면 그것은 『토지』 이후, 박경리가 보다 직접적으로 독자들에게 전하고 싶은 마지막 메시지였는지도 모른다.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