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큘라

브램 스토커 지음 | 열린책들 펴냄

드라큘라 :브램 스토커 장편소설

이 책을 읽은 사람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9,800원 10% 8,82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09.12.20

페이지

337쪽

상세 정보

상세 정보 더보기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4

깜주님의 프로필 이미지

깜주

@shade

  • 깜주님의 드라큘라 게시물 이미지

드라큘라

브램 스토커 지음
열린책들 펴냄

읽었어요
13시간 전
0
이홍관(초코과니)님의 프로필 이미지

이홍관(초코과니)

@9lhdi1ddzuo0

드라큘라 백작의 실패한 영국 정착기!

드 백작은 자기가 살던 곳을 벗어나 새로운 먹이를 찾아 영국으로 정착하기 위해 우리 주인공을 이용하는데
우리 주인공은 지인의 소개로 매너좋은 드 백작의 성으로 이사해 드 백작의 이사를 도와주는데
친절한 드 백작의 첫 인상의 호의적이었는데 생활하면서 겪게된
의구심?호기심?은 날로 커져가는데...
우리가 알던 드라큘라의 바이블 격인 이 소설은
제1부는 공포물 제2부는 추격물로 느껴졌습니다.

제1부에서는 드백작의 다양한 능력앞에
등장인물들은 두려움을 느끼고 아름다운 여인의 죽음을 끝내 지키지 못해 아쉬움과 또 다른 여인의 사건의 시작으로 긴장감을 고조시켰지만
제2부에서는 또 다시 위기에 빠진 여인을 구하기 위해 단 한차례의 반격으로 도망을 치는 백작을 쫓고 쫓아 결국에는 다소 허무하게 승리를 이루게 되었는데 줄거리가 아쉬웠습니다.
도망치면서 공격하고 다시 도망치고 결국 궁지에 몰아가는 스토리였으면 더 잼있었을텐데 최면에 걸린 미나마냥 졸면서 읽었네요.

마지막 백작의성에 있었던 관들과 그렇고 ..
그래도 우리가 아는 드라큘라의 대한 여러가지 정보도 알 수 있고
번외로. 드 백작에 대한 매력을 느끼시는 분들은
미국드라마 트루 블러드라는 작품을 추천하면서 마무리 짓습니다.

드라큘라 하

브램 스토커 지음
열린책들 펴냄

2019년 5월 5일
0
파수님의 프로필 이미지

파수

@f4bn6bqgxqia

상권 하권 나눠진건 동시에 체크할 수 있으면 좋겠다.
상권의 루시가 미나보다 더 흥미로울 것 같은 인물이지만(나에게는) 묘사가 빈약해서-작가가 미나에 애정을 쏟아부어서 하권이 읽기에는 더 재밌었다.

드라큘라 하

브램 스토커 지음
열린책들 펴냄

2019년 1월 28일
0
집으로 대여
구매하기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출판사 책 소개

공포와 성(性)을 결합시킨 환상 문학의 고전

고딕 호러 소설의 대명사 브램 스토커의 대표작으로, 어떤 엄청난 악이 기독교적 자신감을 갉아먹는다는 느낌을 드러낸 19세기 후반의 수많은 작품 가운데 하나이다. 드라큘라 백작의 런던 저택 매입과 관련한 법적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트란실바니아로 찾아간 조너선 하커는 백작의 성에서 그의 끔찍한 실체를 목격한다. 곧이어 영국에서는 기이한 사건들이 연달아 발생하고, 그 모든 것의 배후에 드라큘라의 사악한 목적이 깔려 있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그에 맞서기 위한 치열한 전투가 시작된다.
절대 악의 화신 드라큘라 백작과 그를 영원한 죽음으로 떨어뜨리기 위해 분투하는 빛의 전사들-반 헬싱 박사, 조너선 하커, 존 수어드, 퀸시 모리스, 아서 홈우드, 그리고 미나 하커. 이렇게 『드라큘라』는 표면적으로 선악의 대결이라는 이분법적 구도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실상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 그것은 드라큘라의 악마적 특징, 즉 흡혈을 통한 생존과 번식 때문이다. 드라큘라는 아서의 약혼녀 루시의 피를 빨아 먹음으로써 자신의 생명과 젊음을 회복하는 동시에 루시를 자신과 같은 흡혈귀로 만든다. 이처럼 『드라큘라』의 극적 긴장감은 단순한 생과 사를 넘어 끔찍한 생명과 신성한 죽음이라는 냉혹한 모순에서 비롯된다.

『드라큘라』는 이제껏 수백 번 이상 영화화되고 무대에 올려진 환상 문학의 고전 명작 소설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나온 수많은 작품들 중에 원작에 충실했던 것은 거의 찾아보기 힘들었다. 1970년대에 들어오면서, 이 작품을 단순한 공포 소설로만 읽을 수 없다는 움직임이 태동하면서 이 작품에 대한 새로운 해석들이 다채롭게 펼쳐졌다. 주로 프로이트 주의자들에 의해서 드라큘라를 성적인 갈망의 환영으로, 어떤 관능적인 열망의 징후로 해석되었다. 이러한 재평가를 바탕으로 1981년에 미국에서 『드라큘라』가 재출간되었고, 우리나라에서는 이 작품이 최초로 완역되었다.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FLYBOOK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