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절과 기분

김봉곤 지음 | 창비 펴냄

시절과 기분 (김봉곤 소설집)

이 책을 읽은 사람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14,000원 10% 14,00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20.5.1

페이지

364쪽

상세 정보

작가 김봉곤이 2년 만에 두번째 소설집 <시절과 기분>을 선보인다. 2018년 봄부터 2019년 여름까지 발표한 작품 6편을 발표 순서대로 엮어냈다. 첫사랑, 첫 연애, 첫 키스 등 유의미한 '첫'들의 순간을 담아냈다.

상세 정보 더보기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3

노아님의 프로필 이미지

노아

@noah_79

  • 노아님의 시절과 기분 게시물 이미지

시절과 기분

김봉곤 지음
창비 펴냄

읽었어요
2주 전
0
stella님의 프로필 이미지

stella

@stella38hr

사랑밖에 삶을 살아가게 하는건 없다.
사랑하던 시절과 사랑때문에 아파하던 시절을 통과하고 사랑이 달콤쌉싸름하다는 느낌을 아는 기분이 반복된다.

시절과 기분

김봉곤 지음
창비 펴냄

2020년 7월 10일
0
카밀라님의 프로필 이미지

카밀라

@kamilra

오랜만에 소설 한권을 즐기면서 읽었다.
나와 생각이 비슷한 사람처럼 느껴져서 나를 돌아볼 수 있었다. 글을 작가처럼 쓰지는 못해도 공감이 되는 부분이 많았다.
과거의 연인들을 시절과 계절에 남겨두며 기억했다.
나라는 사람의 인생에서 피로감을 느낀다. 하지만 그것 또한 나의 삶 자체이고 일부분이기에 나 자신은 그것을 포기할 수 없고 긍정하기 위해 소설을 쓰고 글로 남긴다고 했다.
나는 내 삶을 소중하게 글로 남기던 때가 있었지만 어느 순간 피로감때문에 손 놓았다. 나를 긍정하기 위해 포기하지 않기 위해 다시 내 시절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내 시절과 계절에

시절과 기분

김봉곤 지음
창비 펴냄

👍 이별을 극복하고 싶을 때 추천!
2020년 7월 4일
0
집으로 대여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작가 김봉곤이 2년 만에 두번째 소설집 <시절과 기분>을 선보인다. 2018년 봄부터 2019년 여름까지 발표한 작품 6편을 발표 순서대로 엮어냈다. 첫사랑, 첫 연애, 첫 키스 등 유의미한 '첫'들의 순간을 담아냈다.

출판사 책 소개

“김봉곤의 소설은 왜 이렇게나 아름다울까”
2020년대 한국문학을 이끌어갈 독보적 감수성
빛나는 문장으로 쓰인 섬세하고도 세련된 마음의 서사


2016년 동아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한 이래 2018년 출간한 첫 소설집 『여름, 스피드』로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은 작가 김봉곤이 2년 만에 두번째 소설집 『시절과 기분』을 선보인다. 2018년 봄부터 2019년 여름까지 발표한 작품 6편을 발표 순서대로 엮어냈다.
김봉곤 특유의 리드미컬하고도 섬세한 문장은 “사랑의 환희와 희열을 이어가는 내밀한 몸짓”(강지희 해설)을 아름답게 그려낸다. 첫사랑, 첫 연애, 첫 키스 등 유의미한 ‘첫’들의 순간을 담아낸 이번 소설집을 읽다보면 “나는 고개를 젓다 손뼉을 치다 주먹을 쥐다 음울하게 감동하기를 반복했다”라는 소설가 권여선의 심사평(2020년 젊은작가상)이 과히 과장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 소설집에 실린 「데이 포 나이트」와 「그런 생활」은 각각 2019년과 2020년 젊은작가상을 수상했고, 표제작 「시절과 기분」은 ‘이 계절의 소설’(문학과지성사)에 선정되어 여러차례 회자되며 이미 문단 안팎에서 호평받은 바 있다.

한국문학이 기다려온 새로운 사랑의 기분
나를 가눌 길이 없을 때 우리는 김봉곤을 읽는다


이번 소설집의 문을 여는 작품이자 표제작인 「시절과 기분」은 ‘나’가 스스로를 게이로 정체화하기 이전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사귄 여자” 혜인을 7년 만에 다시 만나며 시작되는 이야기다. 처음 대학에서 혜인을 만났던 2005년, 혜인과 마지막으로 만났던 2011년, 그뒤 작가와 세무사가 되어 다시 만난 2018년의 풍경을 서로 교차시키며 작가는 그 ‘시절과 기분’을 촘촘하게 묘사한다. ‘나’는 끝내 혜인에게 성 정체성을 고백하지 못한 채 “조금은 서글픈 기분”을 느끼며 돌아서지만 그 안에서 어떤 답을 찾으려 하지 않는다. 대신 서울로 향하는 열차의 진동이 계속되기만을 바라며 그 “흔들림”을 기꺼이 껴안는다.
「데이 포 나이트」의 화자는 스스로 남자를 좋아하는 사람이라고 인식하지만 아직 “게이라고까지 인정은 하지 못한 상태”이다. 그런 ‘나’는 영화과에서 만난 ‘종인 선배’에게 “숭고”라는 단어까지 떠올릴 정도로 빠져들지만 그에게서 끔찍한 폭력을 경험하고 훼손된다. ‘나’는 그 시절의 종인 선배도 영화도 “잘못 찾아들어간 길”이라고 말하지만 기억하고 싶지 않은 그 과거를 자신의 삶으로 받아들인다.
「엔드 게임」과 「마이 리틀 러버」는 “살면서 가장 사랑했던 한 남자”와의 이별 이야기를 각각 다른 방식으로 써낸 작품들이다. 이 두 작품에서 드러나는 계절의 변화는 결국 변하고 다시 돌아오고야 마는 사랑의 속성을 대변하는 듯하다. 김봉곤의 소설 속 화자는 언제나 더 사랑하는 쪽이어서 상처받고 아파하지만 도리어 그 사랑의 힘으로 당면한 위기를 극복하고야 마는 충만한 사람이다. 가장 사랑했던 사람을 떠나보내고 비로소 이별할 수 있게 된 이 소설 속 ‘나’들은 순환해서 돌아오는 계절처럼 새로운 사랑을 맞이할 준비를 한다. 기억 속 존재를 내려놓아야 함을 받아들이고 다음 계절로 나아가는 ‘나’는 「나의 여름 사람에게」에서 또한 만날 수 있다. 더 성숙해진 마음으로 삶과 사랑을 이어나가는 화자의 목소리를 따라가다보면 누구라도 애틋한 사랑의 기분으로 충만해질 것이다. 이 소설집의 문을 닫는 「그런 생활」은 김봉곤 소설의 새로운 국면을 열어 보이는 작품이다. 자신의 소설을 읽고 난 뒤 엄마가 내뱉은 “니 진짜로 그애랑 그런 생활을 했나?” 하는 말에서 온 것으로 짐작되는 이 작품의 담백한 제목은,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이며 살아가고 또 쓰겠다는 ‘나’의 ‘출사표’로 읽히기도 한다.

“소설은 누군가가 누군가를 만나 어떠한 사건을 겪고 돌이킬 수 없는 변화를 맞이하는 것입니다”(「데이 포 나이트」)라는 소설 속 문장처럼 김봉곤의 ‘나’들은 누군가를 만나고, 사랑하고, 어떠한 사건을 겪고, 그 ‘시절’에 느낀 ‘기분’을 가슴에 새긴 채 살아가는 인물들이다. 그 시절들은 아름답기도 하고 때로는 너절하기도 하지만 작가의 섬세한 문장은 그 안에서 빛나는 진실을 건져낸다. 거기서 우리는 잃어버린 계절-시절을 다시 만날 수 있을지도 모른다.
2020년대 한국문학을 이끌어갈 독보적 감수성의 작가 김봉곤, 그는 이제 신선한 성취를 넘어 그 이름 자체로 이 시대 한국문학의 새로운 방향이 될 것이다.

내가 된 나를 통과한 사람들을 이곳에 나눠 담았고, 내 글이 당신을 통과해 당신의 무언가가 되기를. 나의 한 시절이 이 글을 읽는 당신의 기분이 되고, 그 기분이 또 내게 돌아와 나의 한 시절이 되기를, 간절하게 바라본다. (…) 혐오를 이기는 것도, 이겨내게 하는 것도 내겐 사랑 외엔 없다.
나는 나의 삶을 쓴다.
그것이 내 모든 것이다. ―‘작가의 말’ 중에서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FLYBOOK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