뷔리당의나귀
@bwiridangeuinagui
이 책의 원제는 'The identity of man'으로 직역하자면 '인간의 정체성'이다.
평소 사견으로 '인간의 정체성이란, 자주 만나고 있는 사람들 60%(가족, 친구, 직장동료 등, 즉 경험)와 읽은 책 30%(잡지 또는 고전이건 인터넷 글이건)와 타고난 유전자 10%의 영향력으로 구성된다' 정도로 규정할 수 있다고 생각해왔다. 나한테 영향을 주어 나를 나답게 하거나 변화시키는 동력이 그것들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 책의 전체 내용을 가장 잘 요약하고 있는 문장은 다음과 같다.
'우리가 외부에 있는 자연을 미래로 향해서 상상할 때에는 거기서 과학이라는 지식 양태를 창조하고, 또한 우리가 지금 살아있는 나 자신을 미래를 향해 상상할 때에는 또 다른 지식의 양태인 자아에 관한 지식을 창조한다. 이 두 양태의 지식이야말로 인간의 정체성을 이루는 불가분의 두 부분이다.'
경험을 통해 얻는 두가지 지식, 즉 정체성을 구성하는 과학에 관한 지식 양태와 자아에 관한 지식 양태(특히 문학)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예리하게 기술하고 있다
(인상 깊은 문구)
-간단히 말해 인간은 어떤 고정된 인격의 소유자가 아니다. 왜냐하면 나는 나의 경험에 의해서 끊임없이 커가고 있기 때문이다.
-그 모든 경험이란 바로 우리 자신이며 또한 우리를 위한 세계 자체이다. 경험은 우리를 세계의 일부로 만들어준다.
-모든 인간의 언어에서 약간의 모호성을 피할 길은 전혀 없다. 그리고 언뜻 보기에는 그렇지 않지만, 과학의 언어 또한 예외는 아니다.
-우리가 만들어낸 이미지를 최대한 집약적으로 쓰는 가장 강력한 방법은 바로 언어이다.
-자아는 하나의 '것' 이 아니라 하나의 과정이다. 그 과정은 나의 생이 끝을 맺을 때까지 내가 쌓아온, 눈에 보이거나 보이지 않는 모든 행동으로 구성될 것이다.
-진실은 어떠한 신념일지라도 그것이 진실과 모순될 때에는 존속할 수 없다는 가정이 사회에서 받아들여질 때 비로소 여러 사회적 가치의 한 원천이 될 수 있다.
-선악의 선택이 진위의 선택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된다.
-사람이란 태어나면서부터 기계이며, 경험을 통해 자아가 된다. 인간 자아의 특성은 자연에 관한 경험에 있는 것이 아니라 타인에 관한 경험에 있다.
-자연에 관한 지식은 인간에게 어떻게 행동할 것인지를 가르쳐주며 동시에 인간으로 하여금 모든 피조물의 주인이 되게 한다. 자아에 관한 지식은 그에게 어떻게 행동할지를 가르쳐주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존재할지를 가르쳐준다.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어떠한 형식으로도 자연을 기술하는 것은 불완전하다. 자연이 지나치게 완고하고 별나서가 아니라, 우리 언어의 제한성 때문이다.
-이제 모든 과학적인 시스템에서 어떠한 표현도 불완전하며 그런 의미에서 모든 과학적인 주장은 하나의 근사치이다.
-문학이라는 예술이 가진 힘과 그 의미는, 우리가 우리 자신을 그들 안에서 발견하고 내면적으로나 외면적으로 그들과 더불어 삶을 같이 할 수 있는 방식을 통해 타인의 삶을 우리에게 제시해주는데 있다.
인간을 묻는다
제이콥 브로노우스키 지음
개마고원 펴냄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