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은 사람
23명
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15.5.15
페이지
268쪽
이럴 때 추천!
이별을 극복하고 싶을 때 , 달달한 로맨스가 필요할 때 , 힐링이 필요할 때 읽으면 좋아요.
상세 정보
나에게 딱 맞는 사람은 어디 있는걸까?
솔로인 여자에게 답을 주는 책
한 직종에서 10년간 같은 일을 했다는 건 어떤 느낌일까? 혹은 어떤 의미일까? 2030세대 젊은 여성들의 인기 패션잡지 「휘가로」, 「싱글즈」, 「코스모폴리탄」의 피처디렉터를 거치며 연애, 커리어, 인물, 심리, 여행 등 다양한 분야의 기사를 쓰고, 각계각층의 수많은 사람들을 인터뷰해온 곽정은 기자가 10년간 만나고 헤어진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 <내 사람이다>를 출간한 지 3년 만에 개정판을 낸다.
한 달이면 200장짜리 명함 한 통을 다 쓴다는 그녀는, 수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헤어지면서, 본의 아니게 상처도 받고, 누군가로부터 인생에 조언을 구하기도 하고, 그러면서 또 한층 성숙해나가는, 그 흔하지만 그만큼 어렵고 지난한 과정을 이 책을 통해 담담하게 정리하고 있다.
책에는 총 34명의 '사람'이 등장한다. 그중에는 대중에게 잘 알려진 연예인이나 유명인사들도 포함되어 있고, 우리는 잘 알지 못하는 곽정은 기자의 내밀한 인연들도 들어 있다. 물론, 사생활 보호를 위해 실명은 거론하지 않는다. 대신, 적합한 별명을 붙여줌으로써, 그들 각각 인물의 특징을 간명하고 명쾌하면서도 위트 있게 압축하여 이해를 돕고 있다.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3
HyeRyeon
@hyeryeonyfsf
내 사람이다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주연
@8n5jv1kwuite
내 사람이다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이설아
@of6mau9rkl6p
내 사람이다
1명이 좋아해요
상세정보
한 직종에서 10년간 같은 일을 했다는 건 어떤 느낌일까? 혹은 어떤 의미일까? 2030세대 젊은 여성들의 인기 패션잡지 「휘가로」, 「싱글즈」, 「코스모폴리탄」의 피처디렉터를 거치며 연애, 커리어, 인물, 심리, 여행 등 다양한 분야의 기사를 쓰고, 각계각층의 수많은 사람들을 인터뷰해온 곽정은 기자가 10년간 만나고 헤어진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 <내 사람이다>를 출간한 지 3년 만에 개정판을 낸다.
한 달이면 200장짜리 명함 한 통을 다 쓴다는 그녀는, 수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헤어지면서, 본의 아니게 상처도 받고, 누군가로부터 인생에 조언을 구하기도 하고, 그러면서 또 한층 성숙해나가는, 그 흔하지만 그만큼 어렵고 지난한 과정을 이 책을 통해 담담하게 정리하고 있다.
책에는 총 34명의 '사람'이 등장한다. 그중에는 대중에게 잘 알려진 연예인이나 유명인사들도 포함되어 있고, 우리는 잘 알지 못하는 곽정은 기자의 내밀한 인연들도 들어 있다. 물론, 사생활 보호를 위해 실명은 거론하지 않는다. 대신, 적합한 별명을 붙여줌으로써, 그들 각각 인물의 특징을 간명하고 명쾌하면서도 위트 있게 압축하여 이해를 돕고 있다.
출판사 책 소개
그녀가 10년간 만나고 헤어진,
때로는 모질게 아파하고 때로는 눈물겹게 고마운,
이렇든 저렇든
어쨌든 ‘내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
한 직종에서 10년간 같은 일을 했다는 건 어떤 느낌일까? 혹은 어떤 의미일까? 2030세대 젊은 여성들의 인기 패션잡지 <휘가로> <싱글즈> 그리고 <코스모폴리탄>의 피처디렉터를 거치며 연애, 커리어, 인물, 심리, 여행 등 다양한 분야의 기사를 쓰고, 각계각층의 수많은 사람들을 인터뷰해온 곽정은 기자가 10년간 만나고 헤어진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 <내 사람이다>를 출간한 지 3년 만에 ‘개정판’을 낸다.
* 삼 년이란 시간은 이 책에 등장한 사람들과의 많은 것들을 바꾸어놓았다. 오랫동안 볼 거라고 생각했던 사람을 떠나보내기도 했고, 제법 깊었던 관계가 얕아져버린 일도 일어났으니 말이다. 중요하던 무언가가 더이상 중요하지 않은 무엇이 되는 일, 어쩌면 산다는 것이 그 자체일지도 모르겠지만.
지금 돌아보니 조금 더 많은 생각을 덧붙일 수 있겠다고 생각된 글들에 덧칠을 조금 한 것이 이 개정판의 의미이다. 시간이 지나고 나니 부족한 표현도, 얕은 생각들도 눈에 분명해지긴 했으나 그대로 둔 것은 그 시절의 나를 구태여 ‘개정’하고 싶지 않다는 의미이다. 지금보다 못났으되 흐뭇하게 바라보아야만 하는 것은 나일 뿐인데 어쩌랴.
_ ‘개정판을 출간하면서’ 중에서
* 본의 아니게 상처받고 일부러 상처준 기억도, 아프지만 되돌아보고 싶었다. 내가 사랑한 사람들, 사랑하고 싶었지만 그러지 못한 사람들을 이렇게라도 기록으로 남기고 싶었다. 말하자면 이 글들은, 나와 비슷한 시대를 살아온 내 또래들과 돌려보고 싶은 ‘비밀일기’ 같은 것이다.
_ 프롤로그 ‘이것은 내게 치유였다’ 중에서
한 달이면 200장짜리 명함 한 통을 다 쓴다는 그녀는, 수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헤어지면서, 본의 아니게 상처도 받고, 누군가로부터 인생에 조언을 구하기도 하고, 그러면서 또 한층 성숙해나가는, 그 흔하지만 그만큼 어렵고 지난한 과정을 이 책을 통해 담담하게 정리하고 있다.
이 책에는 총 34명의 ‘사람’이 등장한다. 그중에는 대중에게 잘 알려진 연예인이나 유명인사들도 포함되어 있고, 우리는 잘 알지 못하는 곽정은 기자의 내밀한 인연들도 들어 있다. 물론, 사생활 보호를 위해 실명은 거론하지 않는다. 대신, 적합한 별명을 붙여줌으로써, 그들 각각 인물의 특징을 간명하고 명쾌하면서도 위트 있게 압축하여 이해를 돕고 있다.
이 책에서는 ①사랑, ②일, ③인간관계, ④일상, 총 네 가지 분야로 나누어 이야기를 이어간다. 먼저, 사랑분야에서는 이혼한 전 남편을 비롯하여, 곽정은 기자를 스쳐지나간 뭇남성들에 대한 이야기를 가감 없이 솔직하게 고백해놓았다. 뿐만 아니라, ‘나쁜 남자’ ‘엄친아’ 등 요즘 화제의 중심으로 떠오르는 키워드로 대변되는 남자들에 대한 이야기들을 통해, 여성들이 남자를 만날 때 주의해야 할 것이나 생각해보아야 할 지점 등을 ‘옆집 언니’의 마음으로 때론 다정하게 다독이며, 때론 따끔한 충고를 서슴지 않는다.
JTBC <마녀사냥>에서도 톱칼럼니스트의 자리에서 무수히 많은 연애 고민에 속시원한 조언들을 아끼지 않았던 그녀다. 지금 한창 연애를 하고 있거나 반대로 연애를 하지 못해 고민이거나, 결혼이라는 커다란 산 앞에서 걱정이 많은, 대한민국 대다수의 여성들에게는 무한 공감대를 형성하며 갈팡질팡하는 마음에 한 줄기 방향을 제시한다. 역시, 국내에서 연애기사를 가장 많이 썼다는 기자다운 내공이다.
두번째, 일분야는 직장생활을 해봤다면 누구나 한 번쯤은 겪었음직한 이야기들로 구성되었다. 멀리 보지 못하고 당장의 안위를 위해 꿈을 포기하는 후배를 대선배의 마음으로 보듬거나, 일 중독으로 살아가는 어느 방송국 워커홀릭 PD의 일화를 통해서는 우리 인생에서 ‘직장’이 차지하는 자리에 대해 현명하게 반응하고 지혜롭게 살아갈 수 있는 자그마한 팁들을 제시한다. 그리고, 감정노동과 같은 사회적 이슈에도 관심을 두며 좀더 건강한 직장생활을 위한 주옥 같은 이야기로 너덜너덜 상처난 마음을 어루만져주기도 한다.
세번째, 인간관계 분야는 좀더 우리 현실 속의 이야기들이다. 그리고, 이 책의 가장 핵심이 되기도 한다. ‘사람’ 때문에 아파하고 ‘사람’ 때문에 울기도 하지만, 결국 곁에 있어주는 것도 ‘사람’이요, 의지가 되는 것도 ‘사람’이다. 살면서 정말로 다양한 사람을 만나고, 그 사람이 내 마음 같지 않음에 실망하고 지치기도 하지만, 우리는 절대로 혼자서는 살아갈 수 없는 나약한 존재들이다. 곽정은 기자가 일을 하면서 만난 파트너 혹은 개인적으로 친분을 쌓게 된 인맥들의 일화를 통해, 우리는 실타래처럼 얽혀버린 복잡한 인간관계를 현명하게 풀어나갈 수 있는 위안과 용기를 얻는다.
네번째, 일상분야에서는 그야말로 일상 속에서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는 크고 작은 사건들과 또한 내 마음속에서 자라나는 소소한 고민들에 대한 이야기로 채워진다. 한때 우울증을 겪으며 카운슬러를 찾아갔던 이야기, 충분히 말랐으나 더 마른 몸매를 부르짖으며 다이어트에 고군분투하는 후배 이야기, 월급을 받는 족족 명품 옷과 가방을 사던 친구 이야기, 살면서 단 한 번도 후회한 적이 없다는 어느 연예인 이야기, 삶이 갑갑할 때 찾아갔던 점집 이야기…….
우리 주변 친구들의 모습과도 별반 다르지 않다. 아니, 어쩌면 이 모든 건 나 자신의 모습일 수도 있다. 결국, 중요한 것은 다른 사람들에게 어떻게 보일지보다 내면의 진짜 내 모습에 집중하는 것. 그것이야말로 사람들과 함께 어울려 조화롭게 지내면서도 나의 정체성 또한 잃지 않는 현명한 방법이 되어주지 않을까.
그 누구라도 비슷한 고민들로 잠 못 이루거나 괴로워했을 그런 시시콜콜하지만, 굉장히 중요한 이야기들. 곽정은 기자는 본인의 경험도 담담히 고백하며, 그런 시간들을 보냈을 또다른 이들을 위해 아낌없는 응원을 보내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은 또한 곽정은 기자 스스로를 위무하고 텅 빈 마음을 가득 채우는 일이 되어주기도 했음은 물론이다.
이러쿵저러쿵 힘들고 지치기도 했지만, 그러한 시간을 통과해 이제는 ‘내 사람’이 된 이들을 떠올리면, 어쩐지 다시 힘이 솟는 경험. 누구나 해보았을 것이다. 이제는 책장을 덮고 우리 곁의 ‘내 사람’들을 하나씩 떠올려보면 어떨까. 여기 적힌 곽정은 기자의 ‘사람들’은 이 책을 집어든 모든 이들의 인생에도 있는 ‘사람들’이기도 하니까.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